김동연 지사가 지난 9일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대선 출마 선언 모습/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 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경선 방식을 ‘당원 50%, 일반여론조사 50%’로 잠정 결정한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고경인 김동연 캠프 대변인은 12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결정은 무늬만 경선”이라며 “국민경선 원칙을 스스로 내팽개친 것”이라고 비판했다.

고 대변인은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달라는 요구를 헌신짝처럼 버렸다”며 “국민선거인단이 배제된 이번 결정은 정권교체를 염원하는 국민의 뜻을 외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춘석 위원장은 ‘모든 후보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지만, 반발하는 후보 측이 있는가 하면 조용한 후보 측도 있다”며 “김동연 캠프는 국민 없는 경선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동연 캠프는 세 가지 이유로 이번 룰 변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첫째, 고 대변인은 “민주당이 오랫동안 지켜온 국민경선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며 “16대 대선 경선부터 20대 대선 경선까지 모든 경선은 국민선거인단이 참여하는 방식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응원봉 혁명의 주인공인 국민을 단순 수신자로 격하시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둘째, 그는 “국민경선을 포기하는 것은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며 “역선택을 우려한 소극적 대응은 20여 년간 함께 극복해온 국민경선의 가치와 유용성을 스스로 저버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셋째, “민주당 대선 후보는 공정한 경선 룰을 통해 선출돼야 한다”며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방식이 아니라 후보자 간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있는 룰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과 같은 방식은 공정하지 않으며, 국민이 이를 공당의 모습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 대변인은 이재명 대표에게도 공개적으로 입장을 요구했다. 그는 “국민선거인단 경선을 없애는 것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특별당규위 결정에 문제를 느낀다면 바로잡는 데 역할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또한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과 최고위원들을 향해서도 “경선 방식을 재고하고, 중도층까지 아우를 수 있는 국민 참여 경선으로 가야 한다”고 요청했다.

김동연 캠프는 끝으로 “국민선거인단 경선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심각한 고민과 결단을 하지 않을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