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형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11월 20일 경기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임태희 교육감의 수능 영어 듣기평가 폐지 의견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신중하게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사진=경기도의회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자형 의원(민주, 비례)이 20일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의 수능 영어 듣기평가 폐지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신중한 검토를 촉구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올해 1월부터 수능 영어 듣기평가 폐지를 주장해왔다. 학교별 방송시설 격차로 돌발상황 대응이 어렵고, 듣기평가는 사교육을 통한 문제풀이 '요령' 습득에 불과하다는 것이 주요 근거다.
이자형 의원은 이날 경기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같은 주장에 강하게 반박했다.
이 의원은 "EBS가 주관하는 전국 영어능력듣기평가의 경우 이미 1983년부터 시·도교육청 주관 하에 지속되고 있다"며 "음향 인프라는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시설인만큼 교육청에 유지·보수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방송시설 문제를 이유로 듣기평가를 폐지하자는 것은 교육청의 책임 회피라는 비판이다.
이 의원은 '사교육 요령' 주장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1993년부터 현재까지 30년 넘는 시간 동안 과목별로 수많은 기출문제들이 쌓여있는 것이 수능"이라며 "영어 듣기평가가 사교육에 의존한 요령이라면 이는 수능 전 과목에 적용되는 문제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의 비판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토익, 텝스 등 영어능력평가에서 듣기능력을 검증하는 사례를 들며 "임태희 교육감 발언에서 일제강점기 시절 말하기·듣기 중심 교육에서 문법·독해 중심의 비실용 교육으로 전환되었던 모습이 겹쳐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대에 역행하는 모습이 안타깝다"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이 의원은 "경기도교육청의 말 한마디, 정책 하나에 159만 명 경기학생들은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며 신중한 자세를 주문했다.
끝으로 "선거를 겨냥한 정책이 아닌 신중한 태도를 바탕으로 실제 학생들을 고려한 교육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