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시장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뉴스영


(뉴스영 이현정 기자)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22개 역세권을 콤팩트시티로 전환해 수원을 세계가 주목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수원시는 17일 브리핑을 열고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민선 8기 핵심 과제로 내세운 ‘수원 대전환’의 공간 혁신 전략 중 하나다.

이 시장은 “수원의 미래는 철도망을 기반으로 한 역세권 재편에 달려 있다”며 “도심 곳곳의 낙후된 역세권을 복합·압축 개발해 22개의 콤팩트시티로 탈바꿈시키겠다”고 말했다.

현재 수원에는 14개의 전철역이 있고, 광역철도망이 완성되면 22개 역으로 늘어난다. 여기에 경기남부광역철도까지 개통될 경우 약 30개 역세권이 형성된다. 시는 이 중 개통이 확정된 22개 역세권을 중심으로 복합개발을 추진한다.

이재준 시장이 역세권에 맞는 전략지구 개발 추진을 강조하고 있다./사진=뉴스영


■ 9개 전략지구부터 시동

수원시는 우선 고색역·구운역·성균관대역·영통역·수원역 등 9개 역세권을 전략지구로 지정했다. 내년 상반기 개발을 시작해 2030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나머지 13개 역세권은 순차적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사업 유형도 세 가지로 구분된다. ▲수원역·영통역 등 환승역을 중심으로 한 ‘도심복합형’ ▲성균관대역 등 대학·첨단산업단지 인근의 ‘일자리형’ ▲고색역 등 주거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한 ‘생활밀착형’이다.

예컨대 영통역은 업무·상업·문화시설이 어우러진 도심형 복합업무 지구로, 성균관대역은 청년창업 혁신지구로, 고색역은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생활지구로 각각 개발된다.

이재준 시장이 역세권에 맞는 전략지구 개발 추진을 강조하고 있다./사진=뉴스영


■ 규제 완화·민간 참여 확대

시는 민간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규제 완화 카드를 꺼냈다. 최소 1500㎡에서 최대 3만㎡까지 민간·법인·신탁사 등 누구나 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으며, 용도지역과 용적률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 기부채납 비율과 지역 기여도에 따라 용적률은 최대 300%까지 상향될 수 있다.

이 시장은 “합리적인 개발이익 환수 체계를 마련하면서도 민간의 동참을 이끌어내겠다”며 “기초지자체 최초로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만큼 선도적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재준 시장이 질의응답 시간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스영


■ 기대 효과 30조 원

수원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심 개발 용지 140만 평을 확보하고, 인구 3만 명을 유입한다는 목표다. 생활SOC는 7만 평 규모로 공급되며, 녹지 확충과 함께 전체 경제효과는 약 30조 원, 고용효과는 25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재준 시장은 “낙후된 역세권을 청년과 기업이 모여드는 성장 거점으로 전환하겠다”며 “시민들이 ‘수원이 정말 살기 좋아졌다’고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