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석훈 의원이 의교기를 지켜보고 있다./사진=경기도의회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도의회 전석훈 의원(민주, 성남3)이 중국 난징의 첨단 ‘피지컬 AI(Physical AI)’ 의료산업 현장을 직접 점검한 뒤, AI 기술과 의료 서비스를 결합한 ‘경기도형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을 강력히 제안했다.
전 의원은 “고령사회에 대비해 AI 기술을 통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의료체계 구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모델을 만들어 대한민국 의료 혁신의 표준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방문에서 ▲수술 보조 의료로봇 ▲고령 환자 대상 약물 배송 로봇 ▲응급상황을 실시간 감지하고 자동 대응하는 AI 병원 운영 시스템 등 현지 ‘미래형 병원’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전 의원은 “중국의 AI 병원은 이미 실증 단계를 넘어 일상 운영에 완벽히 정착했다”며 “의료 인력 부족, 지역 격차, 응급대응 한계를 기술로 보완하는 피지컬 AI는 경기도가 반드시 선점해야 할 핵심 혁신 산업”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AI 기술은 의료진의 업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고 강화하는 기술”이라며 “안전과 윤리를 최우선으로 두되, 병원 현장의 효율과 환자 편익을 높이는 ‘경기도형 AI 헬스케어 표준’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 의원은 구체적인 추진 방향으로 ▲도내 시범 의료기관 중심의 수술 보조·물류·병동 모니터링 로봇 단계적 도입 ▲원격진료 플랫폼과 연계한 고령층 만성질환 관리 모델 구축 ▲응급의료 데이터 연동을 통한 신속 대응 체계 고도화 ▲안전·보안·윤리 기준을 포함한 ‘AI 의료 서비스 가이드라인’ 제정 지원 등을 제안했다.
전 의원은 “의료산업의 패러다임이 이미 전환점을 넘었다”며 “경기도가 피지컬 AI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한다면, 이는 곧 대한민국 의료정책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의회 차원에서도 제도적 뒷받침과 예산 반영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경기도가 고령사회와 기술혁신 시대를 동시에 대비하는 가장 앞선 지방정부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