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전경/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도가 도내 청년과 중장년층 구직자 1천 명 고용을 목표로 뿌리산업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고용노동부의 2025년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사업 공모에 선정된 ‘지역체감형 일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도내 뿌리산업 5대 전략업종의 고용을 활성화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청년과 중장년층 등 취업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는 뿌리기업의 인력수급 불균형을 해소함으로써 뿌리산업 고용활성화를 위해 추진된다.

‘뿌리산업’은 제조업 생산공정의 기초를 이루는 산업으로 경기도는 용접, 금형, 표면처리, 사출·프레스, 정밀·소성가공 등 5대 분야를 전략업종으로 선정해 집중 지원한다. 뿌리기업 가운데 구인수요가 높고 고용환경이 열악한 기업을 중심으로 맞춤형 인력 양성과 고용서비스 등을 제공해 일자리 창출과 고용 유지를 동시에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도비 6억 원과 국비 26억 원을 투입한다.

총 8개 사업으로, ‘경기 특화 뿌리온(On)’을 통해 구인·구직 매칭을 지원하고, ‘디지털 공정혁신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숙련 인재 130명을 양성한다. 또 만 35세 이상 입직자 및 채용기업을 위한 ‘일자리도약장려금’, 만 15~34세 청년 대상 ‘청년경력형성장려금’, 장기근속 유도를 위한 ‘일자리채움지원금’을 제공한다. 뿌리기업 대상 현장 밀착형 컨설팅(45개사)과 생산환경 개선 지원(20개사)도 함께 추진된다. 뿌리산업 통합 일자리거버넌스 운영을 통해 일자리사업 정책설명회와 일자리 정책포럼, 실무추진협의회도 진행될 예정이다.

사업 참여는 경기도에 주소를 둔 청년 및 취업취약계층(중장년층, 경력단절여성 등)과 도내 뿌리기업(특히 100인 미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구직자는 잡아바 누리집을 통해 개별사업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으며, 기업은 경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통해 지원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다.

도는 올해 총 1천 명의 고용 성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 830명은 신규 고용, 170명은 고용유지를 통해 달성하며, 사업성과는 추후 뿌리산업 고용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구직자와 기업 간 장기 고용을 정착시킨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