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다시' 포스터/사진=경기문화재단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문화재단이 추사 김정희(金正喜, 1786~1856)를 해박한 타이포그래피 이론가이자, 파격적 타이포그래피 세계를 구축한 예술가로 조명한다.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은 과천 추사박물관, 제주 추사관과 협력해 2025 실학박물관 추사 연합전 ‘추사, 다시’를 4월 30일‘부터 10월 26일’까지 남양주 실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추사, 다시’는 추사 김정희라는 인물과 그가 펼쳤던 사상과 조형을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관점에서 조망하는 전시이다.
전시의 총괄 기획자 석재원은 “오늘날 우리는 글자를 부리는 기예이자 학술을 ‘타이포그래피’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추사는 해박한 타이포그래피 이론가이자, 파격적 타이포그래피 세계를 구축한 전위 예술가라고 볼 수 있다”라고 말한다.
‘추사, 다시’는 근대화 이후 서구 문물을 수용하는 데 집중한 나머지 우리 전통의 문자 조형이 연속성 있게 현재로 이어오지 못한 상황에 주목하여, 개화가 본격화하기 직전 ‘추사체’라는 독창적 문자 조형을 구축한 추사의 작품을 동시대 시각 예술가가 재해석하는 시도를 통해 전통의 문자 조형이 현재의 타이포그래피와 어떻게 연결되고, 추사의 파격적 조형 실험이 동시대 시각예술과 어떻게 조응하는지 모색한다.
전시는 1, 2부로 구성되어, 추사의 작품과 동시대 시각예술가의 작품이 가진 상호 관계성을 관객 스스로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실학박물관 김필국 관장은 “김정희의 추사체는 일생에 걸쳐 자신의 개성과 특성에 맞게 창조해 나간 과정의 결실이다. 이러한 ‘창조’의 예술혼은 오늘날 현대 예술가들에 의해 재창조되어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정희는 우리 예술사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한 인물이자, 금석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 분야에서 빼어난 업적을 남긴 학자이다. 그가 남긴 서예는 오늘날 ‘추사체’로 불리는데 독창적 서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추사, 다시’는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김정희가 몰두한 파격에 대해 오늘의 시각 예술이 응답하는 전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