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 청년 세대의 정의감과 책임의식을 높이 평가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경기도는 3일 고양시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을 열었다.

올해 포럼은 ‘더 큰 평화 –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DMZ의 생태·평화 가치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동연 지사는 개회사에서 “오늘 우리는 DMZ가 회복한 평화의 가치를 인간의 세계로 이어가기 위해 모였다”며 “양적 성장이 아닌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을 이루는 것이 미래 세대에 남길 최대의 유산”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 인간과 자연, 세대와 세대가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한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며

“평화와 생태, 기술과 인문이 만나 지구를 지키고 인류의 미래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희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경기도는 DMZ 평화콘서트, 걷기대회, 에코피스포럼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DMZ를 평화의 기원지로 바꾸고 있다”며 “경기북부를 생태와 평화가 경제가 되고 미래가 되는 공간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포럼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기조 세션에서는 세계적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가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주제로 강연했다.

샌델 교수는 “정의로운 사회는 각 세대가 서로에게 책임을 지는 사회이며, 평화는 이러한 세대 간 정의의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버드대 강의 형식으로 청년 청중과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기후·생태 위기 시대에 공동선의 회복과 세대 간 윤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대담에는 김동연 지사, 샌델 교수,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가 참여해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 본 DMZ의 미래’를 주제로 자유토론을 벌였다.

최재천 교수는 “우리 사회는 젊은 세대를 ‘MZ세대’라 부르며 이기적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정의감에 불타는 세대”라며 “기후위기 대응과 정의 실현의 주체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샌델 교수도 “청년들이 새로운 생태 윤리를 구축하는 데 희망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며 “이는 단순히 가르침이 아니라 지속적인 자극과 고민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해 12월 불법 계엄 사태 때 젊은 세대가 축제처럼 나서서 민주주의를 지켰다”며 “환경 문제나 정의 문제도 즐겁게 실천하는 단계로 발전할 것이며, 이를 뒷받침할 여건을 만드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지난 3년간 이어온 ‘더 큰 평화’ 담론을 마무리하고, DMZ를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만나는 미래의 공간으로 재정의했다.

도 관계자는 “DMZ를 중심으로 평화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열린 DMZ(OPEN DMZ)’ 비전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은 오는 5일까지 이어진다.

※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 30개국 언어로 번역된 전 세계 베스트셀러 ‘정의란 무엇인가’로 우리나라에도 친숙한 미국의 대표적 현대 정치철학자이자 하버드대학교 교수다. 공동체주의와 공화주의 사상을 강조하며, 자유주의적 정의론에 비판적인 시각을 지닌 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27세에 최연소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29세에 자유주의 이론의 대가인 존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한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를 발표했다. 철학적 담론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는 강연과 저술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정의란 무엇인가’, ‘공정하다는 착각’ 등 두 저서로 2010년 이후 대한민국에 ‘정의’, ‘공정’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이 밖에도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완벽에 대한 반론’, ‘정치와 도덕을 말하다’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