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 '여운형 남북통일의 길' 포스터/사진=경기도
경기도가 개천절과 추석, 한글날로 이어지는 긴 연휴를 맞아 도내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다채로운 무료 전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번 연휴 기간 경기도민들은 가까운 전시관에서 역사·예술·환경을 아우르는 전시를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단, 추석 당일인 6일은 휴관한다.
대표 전시로는 ▲경기도박물관 ‘여운형: 남북통일의 길’ ▲용인시박물관 ‘흥.화. 잊혀진 교실을 열다’ ▲백남준아트센터 ‘백남준의 도시: 태양에 녹아드는 바다’ ▲경기도미술관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남한산성역사문화관 ‘침묵 속의 무장, 남한산성 2.0’ ▲실학박물관 ‘추사, 다시’ ▲김홍도미술관 ‘모두의 그림, 김홍도 촉감화’ ▲화성시역사박물관 ‘옷자락, 기억의 자락’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조문기의 시한폭탄은 아직 터지지 않았다’ ▲부천시립박물관 ‘다르지만 같은-말, 삶, 곳 展’ 등 총 10곳이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경기도박물관에서 열리는 ‘여운형: 남북통일의 길’(~10월 10일)은 민족 통합과 좌우합작을 위해 헌신했던 여운형의 삶을 유물과 기록을 통해 재조명한다.
▲용인시박물관에서는 10월 14일까지 ‘흥.화. 잊혀진 교실을 열다’를 통해 개화기 근대교육의 상징인 흥화학교의 졸업증서, 교재 등 유물을 선보인다. ▲백남준아트센터는 ‘백남준의 도시: 태양에 녹아드는 바다’(~10월 12일) 전시를 열어 현대 도시를 미디어 인터페이스로 해석한 백남준과 동시대 작가들의 미디어 작품을 한자리에 모았다. 경기도미술관의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10월 15일)는 기후 위기를 주제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성찰하는 전시로 구성됐다.
남한산성역사문화관은 ‘침묵 속의 무장, 남한산성 2.0’(~10월 14일) 전시를 통해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항전과 자주성을 무기와 기록 자료로 풀어낸다. ▲실학박물관의 ‘추사, 다시’(~10월 13일)는 김정희의 서예와 사상을 현대 시각예술과 접목해 새롭게 해석했다. ▲김홍도미술관에서는 ‘모두의 그림, 김홍도 촉감화’(~10월 12일)를 통해 시각장애인도 감상할 수 있도록 김홍도의 대표작을 촉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를 마련했다. ▲화성시역사박물관의 ‘옷자락, 기억의 자락’(~10월 15일)은 1960~1990년대 복식과 생활자료를 통해 시대의 정서를 돌아본다.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은 ‘조문기의 시한폭탄은 아직 터지지 않았다’(~10월 14일) 전시를 통해 부민관 폭파 의거의 주인공 조문기의 항일 정신을 집중 조명한다. ▲마지막으로 부천시립박물관은 ‘다르지만 같은-말, 삶, 곳 展’(~10월 13일)을 통해 시민들이 기증한 생활 유물을 전시하며 ‘공감과 소통의 박물관’이라는 주제를 전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긴 연휴 동안 도내 곳곳의 문화시설에서 의미 있는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멀리 떠나지 않아도 경기도 안에서 풍성한 예술의 가을을 누리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