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옥주 의원이 범대위와 '수원군공한 화성이전·경기국제공항 화성건설 결사 반대'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범대위


(뉴스영 이현정 기자) 수원시의 군공항 이전 추진 움직임에 대해 화성 지역 시민사회가 정면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수원전투비행장 화성이전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원군공항의 화성 이전 시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며 수원시와 정치권의 행보를 강하게 비판했다.

범대위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수원시장이 주도하고, 수원 지역 국회의원들이 거드는 군공항 이전 논의는 9년째 반복되는 정치적 수단일 뿐”이라며 “군공항 문제를 매 선거 때마다 표심을 겨냥한 ‘황금거위’처럼 활용해왔다”고 지적했다.

범대위는 최근 수원시와 수원 지역 국회의원들이 수원 군공항 문제를 대통령실 주도의 광주 군공항 TF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인 데 대해 “이 기회에 편승해 수원 군공항을 정부 주도로 이전시키려는 얄팍한 계산”이라며 “광주와 무안의 사례는 기존 공항 인프라를 활용하는 이전 협상이고, 화성은 신규 군공항 건설로 본질이 전혀 다르다”고 일축했다.

이어 “수원시는 과거 화성시와 사전 협의도 없이 국방부에 일방적으로 이전건의서를 제출했고, 국방부 역시 이를 수용해 2017년 화옹지구를 예비이전 후보지로 지정해 극심한 지역갈등의 불씨를 당겼다”고 주장했다.

범대위는 수원시뿐만 아니라 국방부와 경기도에도 책임을 물었다. 이들은 “국방부는 화성시민과의 동의나 협의 없이 후보지를 결정함으로써 사업의 첫 단추부터 잘못 꿰었다”며 “지금이라도 예비후보지 지정 철회와 이전사업 전면 백지화를 선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경기도에 대해서도 “경기국제공항이라는 이름 아래 주민 동의 없는 배후지 개발 전략 수립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하며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기는 무리한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도민의 통합과 상생이라는 책무에 충실하라”고 촉구했다.

범대위는 성명에서 “수원시와 국방부, 경기도가 경기국제공항 개발이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 목표는 수원군공항의 화성 이전”이라며 “그 어떤 명분도 지역 주민의 동의 없이 밀어붙일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민군통합공항은 화성시의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일 뿐”이라며 “화성시 어디에도 군공항이 들어설 자리는 없으며, 105만 화성시민과 함께 끝까지 싸워 자치권을 지켜낼 것”이라고 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