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카카오헬스케어와 손잡고 ‘스마트 혈당관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광주시
(뉴스영 이현정 기자) 광주시가 디지털 기반으로 지역 주민의 혈당관리 서비스를 본격화 한다.
시는 9일 성남시 카카오헬스케어 본사에서 경기도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 및 카카오헬스케어와 ‘디지털 기반 스마트 혈당관리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을 통해 광주시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모델을 지역 건강관리 체계에 도입하는 데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은 조직개편을 통해 권역 중심 건강서비스 기능을 강화한 오포건강생활지원센터가 주도하며 개편 이후 첫 대규모 디지털 협력사업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시는 오는 12월까지 ▲모바일헬스케어 프로그램 ▲AI 기반 ‘안티-혈당스파이크’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 주민에게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제공한다. 참여자는 건강검진 후 연속혈당측정기(CGM)을 착용하고 카카오헬스케어의 모바일 앱 ‘파스타(PASTA)’를 통해 혈당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받는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단, 운동, 생활습관 등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광주시보건소 건강증진센터 만성질환 관리자 중 25명은 대조군으로 참여해 실험군과의 건강 변화 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맞춤형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조정호 광주시보건소장은 “AI와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사업이 시민의 건강 증진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디지털 건강관리 모델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경기도, 카카오헬스케어, 유관기관과 협력해 지속가능한 스마트 건강증진 모델을 구축하고 지역 전반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