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환 범대위원장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범대위
(뉴스영 이현정 기자) 수원전투비행장 화성이전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가 최근 경기국제공항 건설 논의에 대해 “핵심 국정과제에도 포함되지 않은 공허한 주장”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상환 범대위 상임위원장은 28일 “화성시 발전을 저해하고 지역 갈등만 키우는 수원군공항 화성이전과 경기국제공항 화성 건설은 꿈도 꾸지 말라”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지난 13일 정부가 발표한 국정과제에 따르면 광주군공항 이전사업은 포함됐으나, 경기국제공항 건설은 제외됐다. 이에 대해 범대위는 “경기국제공항이 신공항 건설사업에서 확실히 제외됐다”며 “수원시가 국정과제로 제출한 군공항 이전 TF 구성과 6자 협의체 역시 채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범대위는 특히 “2026년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군공항 이전과 국제공항 건설 주장이 다시 선거용 카드로 활용될 수 있다”며 “화성시민을 기만하는 정치적 행태에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기국제공항 후보지 분석·배후지개발 전략수립 연구용역’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대했다.
범대위는 “신공항 건설은 국토교통부 권한임에도 경기도가 자격 없이 도민 혈세를 들여 후보지를 일방 선정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주민 공청회 추진 역시 지역 갈등만 부추기는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들이 군공항 이전에 대한 반대 시위를 벌이는 모습/사진=범대위
지난 8월 21일 일부 찬성단체가 화옹지구에서 경기국제공항 유치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연 데 대해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범대위는 “군공항 이전과 국제공항 건설의 예정지는 동일한 화옹지구”라며 “수원시가 종전부지 개발수익으로 공항 건설기금을 마련해 민·군통합공항을 추진하려는 것은 결국 군공항 화성이전을 염두에 둔 꼼수”라고 주장했다.
특히 범대위는 최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공항 고도제한 범위를 최대 반경 13km까지 확대하는 기준을 시행한 점을 거론하며, “화옹지구에 국제공항이 들어서면 화성 서부권 전역의 주거·상업·관광개발이 사실상 봉쇄되고, 도시계획과 재산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위원장은 또 “전국 15개 공항 중 다수가 적자에 허덕이는 현실에서 신공항을 무리하게 추진하면 막대한 예산낭비가 발생한다”며 “수요예측 오류로 법적 책임을 묻는 용인경전철 사례처럼 공항 건설 역시 부실 검증 시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범대위는 “화성시민의 자치권과 행복추구권을 수호하기 위해 군공항 화성이전과 경기국제공항 화성건설 저지를 위한 적극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