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경 의장이 지방의정 AI 대전환 콘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경기도의회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간 소통·협치 기구인 ‘여야정협치위원회’가 1년여 만에 다시 가동된다.
2023년 출범 이후 사실상 멈춰 있었던 협치 채널이 복원되면서 주요 조례안·예산안 심의와 도정 현안 처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13일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경기도의회 김진경 의장,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의원은 수원 도담소(옛 경기도지사 공관)에서 ‘2025년 여야정협치위원회 공동협약식’을 열고 협치 재개를 공식화했다.
김동연 지사는 인사말에서 “최근 가평·포천 등지에 큰 피해가 있었지만 도의회 여야가 함께 복구에 나서는 모습을 보며 도민과 경기도 발전을 위해 당을 넘어 협력할 수 있다는 좋은 본을 봤다”며 “경기도와 대한민국, 나아가 새 정부의 성공을 위해 한 방향으로 나아가자”고 말했다.
이어 “9월 본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 심의와 행정감사 등 산적한 현안을 앞두고 협치의 기반을 마련하게 돼 기쁘다”고 덧붙였다.
김진경 의장은 “1,420만 도민이 살아가는 지방정부로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여야정협치위원회를 잘 이끌어가 더 나은 경기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종현 민주당 대표의원은 “도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내겠다”고,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의원은 “협치를 위한 조례 제정과 분과위원회 활성화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위원회 구성은 기존 22명에서 14명으로 축소돼 집중도를 높인다. 경기도지사와 도의회 의장을 비롯해 도 집행부 4명(경제부지사, 협치수석, 기획조정실장, 균형발전기획실장), 양당 각 4명(대표의원, 총괄수석부대표, 정책위원장, 수석대변인)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주요 도정·조례안·예산안·사회적 쟁점 등을 협의해 처리하며, 합의 사항은 예산과 정책에 적극 반영한다. 필요 시 분과위원회를 설치해 실행력을 높인다. 실무협의기구인 ‘여야정 실무회의’는 매월 첫 주, 본 위원회는 분기별 1회(연 4회) 열고 긴급 현안이 있을 경우 수시로 개최한다.
김진경 의장이 AI 대전환 콘퍼런스에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의회
이날 협약식 직후에는 경기도의회 12층에 마련된 여야정협치위원회 사무실 현판식도 열렸다. 여야 실무진이 상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여야정협치위원회는 2022년 11월 ‘여야정협의체’로 출범한 뒤 2023년 확대 개편됐으나, 이후 여러 사정으로 활동이 중단됐다. 복원 계기는 지난 6월 열린 김동연 지사와 김진경 의장, 양당 대표의원의 ‘치맥회동’이었다. 이후 실무 논의가 속도를 내면서 이번 합의로 이어졌다.
협약식에는 도의회 의장단과 양당 대표단, 고영인 경제부지사, 박용진 협치수석, 허승범 기획조정실장, 김상수 균형발전기획실장 등이 참석했다.
올 상반기에도 김 지사는 의장단 차담회(2월), 대표의원 차담회(4월), 추경·도정협조 면담, 예담채 개관식, 5분 발언 의원 간담회 등 잇단 협치 행보를 이어왔다. 이번 협약으로 도와 도의회가 민생현안 해결을 위한 소통과 협력의 틀을 공식적으로 되살린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