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실공간체험존에서 아이가 체험하는 모습/사진=경기문화재단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가 지난해 경기문화재단 본사 이전에 따른 일부 사무공간을 도민 공간으로 전환, 재정비를 마치고 ‘도민과 함께 하는 더 열린 문화공간’으로 활짝 개방한다.

■ 재단 사무공간 축소, 도민 활동 및 편의공간 확대

경기상상캠퍼스는 도민의 공간으로 확대 개방하고자 본사 이전(24.9.16) 이후 지난 6개월 동안 8개 건물별로 분산된 사무공간과 입주공간을 일원화하고 17개의 공간을 시범 운영을 거쳐 도민 편의 공간 확충과 공간 개보수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대민 공유서비스를 확대 추진한다.

이를 위해 단계별로 입주단체 전용 공간과 재단 사무공간을 축소하여 무용연습실, 체험존, 공유오피스, 러닝존, 교육실 등 도민 공용 공간으로 전환하여 34개에서 56개로 확대하였다. 또한 방문객의 휴식과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재단 기록물 창고로 사용하였던 문서고(공작1976)를 전시와 체험, 휴게가 가능한 다용도 공간으로, 입주단체 퇴실공간(청년1981)을 책놀이터, 도자체험, 포토존 등 어린이들의 체험존으로 운영하고 있다. 오는 5월에는 입찰을 통해 편의점과 휴게음식점을 입점시킬 계획이다.

■ 대관률 2,686회 등 연간 30만명 방문객 이어져

지난해부터 공간 개방화에 따른 경기상상캠퍼스 대관률은 지난해 2,686회로, 23년 2,442회 보다 365회 증가하여 높은 가동률을 기록하였다. 또한 지난해부터 상설 체험 전시와 우수 공연물 유치 등 상시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난해 301,717명 방문해 1만여명 증가하였다. 경기상상캠퍼스는 울창한 숲과 문화예술을 즐기려는 가족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져 연간 30만명 이상, 누적 182만명이 방문하는 등 도심 속 자연과 예술이 있는 대표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봄꽃포레 숲숲라이브 모습/사진=경기문화재단


■ 누구에게나 열린 플랫폼이자 모두의 공유지대로 나아가

특히 2025년에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동기획 공간지원사업’과 ‘단기 입주단체 공모’를 새롭게 주력하고 있다. 공동기획 공간지원사업은 융복합 공간 ‘공간1986 멀티벙커’와 ‘무용연습실’을 창작자와 기획자에게 공간과 홍보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공간 활용과 함께 창작자와 기획자를 발굴, 연계 협력하는 기반 지원사업이다. 시범 운영을 거쳐 하반기에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단기 입주단체 공모’는 정기적으로 3년간 입주할 단체를 운영하던 방식에서 탈피, 4개월 동안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체류하며 얻은 영감을 토대로 협력 기회를 확보하고자 마련된 공모 트랙으로 10여팀 선발, 운영하고 있다. 단기입주 트랙을 통해 더 많은 예술인과 문화기획자를 발굴하고 협력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다.

지역문화본부 김유임 본부장은 “경기상상캠퍼스는 도민에게는 쉼과 휴식이 있는 연중 개방된 문화예술 놀이터가 될 것”이라며 “예술가와 문화기획자, 생활문화인에게는 새로운 일거리의 기회로 경기상상캠퍼스는 누구에게나 열린 플랫폼이자, 모두의 공유지대로 나아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